BIOS는 PC에 전원을 켜고 Windows OS를 시작할 때까지 PC의 하드웨어 및 운영 체제(OS) 사이의 펌웨어 인터페이스
메인 보드의 ROM에 내장된 프로그램으로서(일명 ROM BIOS) 키보드, 마우스, CPU, 하드 디스크(HDD) 등의 하드웨어 장치를 초기화하여 제어하고 운영 체제(OS) 부팅에 바톤을 넘기는 연결 역할
☞ 메인보드 펌웨어에는 BIOS와 UEFI라는 두 가지 유형이 있음
BIOS는 Legacy BIOS라고 하고, BIOS의 한계를 대신하여 나온 부트 모드가 UEFI(Unified Extentiable Firmware Interface)
Legacy BIOS와 UEFI의 차이점은?
1. 아키텍처 지원 범위
BIOS 펌웨어
- x86 CPU 아키텍처에 특화되어 있으며 16비트 프로세서 모드만 지원
UEFI 펌웨어
- x86-64 명령어 세트를 사용하지 않는 ARM CPU를 포함하여 모든 칩셋의 64비트 버전을 지원
- UEFI 부팅 성능은 i/o 작업당 단일 섹터만 읽을 수 있다는 BIOS 제한을 극복하여 훨씬 더 빠름
2.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형
MBR 시스템 GPT 시스템
즉, 부팅디스크로 사용하려면 BIOS는 MBR , UEFI는 GPT 형식이 되어야 함
MBR(Master Boot Record)
하드 디스크를 2 TB (512*2^32) 까지만 인식하고 그 이상의 용량 인식이 되지 않거나 이상하게 인식됨
주 파티션 4개 까지만 지원하며, 32bit를 사용
Windows 32bit, 64bit OS 모두 지원가능
GPT(GUID Partition Table)
MBR 파티션 테이블의 제한 때문에 하드웨어 용량의 확장을 위해 발전
메인보드에서 UEFI 부팅이 가능해야 하고, GPT 파티션이 MBR 파티션에 비해 부팅속도가 빠름
최대 9ZB ( 512 × 2^64 ) 이하의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최대 128개의 파티션을 만들 수 있
부팅 USB로 사용하는 GPT는 WINDOWS 64bit나 windows Vista SP1이상에서 지원이 가능
참고 :
'인프라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 Xeon Scalable 시리즈 제품 읽기 (1) | 2024.10.04 |
---|---|
proxmox 볼륨 잡기 (0) | 2024.07.07 |
CloudFlare로 보안 설정 해보기 (0) | 2024.07.01 |
Proxmox VM 삭제하기 (0) | 2024.06.16 |
elasticsearch 설치하기 (0) | 2024.05.01 |